미륵정토사 &
초무한참나선원
미륵정토종 안내
미륵사상
1) 미륵부처님은 어떤 분인가?
2) 미륵사상의 종류
3) 미륵부처님께서 오시는 시기와 장소
4) 주요 경전
5) 미륵사상의 발전
1) 미륵부처님은 어떤 분인가?
2) 미륵사상의 종류
3) 미륵부처님께서 오시는 시기와 장소
4) 주요 경전
5) 미륵사상의 발전
5) 미륵사상의 발전
① 미륵 사상은 최초 석가부처님께서 재세시 당시 제자들 중 자비제일 공덕제일의 보살과를 증득한 아일다(Ajita)에게 미래세 미륵불로 출현할 것이라는 당래불(當來佛)로의 수기에 현실적인 기원을 둔다.
② 미륵신행은 석가모니 부처님 입멸 후 약 20년부터 유행되다 300∼500년 정도에 인도전역에 발생하기 시작했다는 설과 기원 후 2∼3세기경에 발흥하여 유행했다는 등의 여러 설이 있다. 대체적으로 유식학을 근간으로 대승수행자들에 의하여 크게 성행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③ 인도에서 미륵신행을 근간으로 하는 유식학이 중국에 전해지면서 미륵신행이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④ 한국에 미륵신행이 전해진 것은 유식학이 신라에 전해진 것과 같이 하고 있다.
⑤ 신라의 진표율사에 의해 미륵신행이 부흥하다가 고려조에 넘어오면서 선종(禪宗)이 유행하자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⑥ 고려조이후 선종이 도입되면서 승려사이에선 미륵신행을 비롯한 유식학 보다 선(禪)이 유행하였고, 기존에 유행하던 미륵신행은 민간으로 유입되어 유행하게 되었다.
⑦ 미륵신행이 민간으로 유입되어 명맥을 유지하던 조선말 증산거사에 의해 미륵신행에 대한 전말과 예비의 공사가 시행되는 가운데 미륵사상에 의한 신행이 한 때 크게 부흥하였다.
⑧ 역사상 중국이나 한반도에 각종 민심의 혼란이나 개혁적 성향의 사람들에 의해 민중의 희망으로서 미륵을 자칭하거나 미륵사상을 주창하는 등의 사건이 명멸했었다. 후고구려 등을 일으키었던 궁예에 의한 미륵사상은 미륵사상사에 상당히 부정적으로 비추어지고 있는 사건 중 하나이다. 이는 실패한 역사 주인공에 대한 평가라는 등의 이유를 들어 재평가 하는 등의 연구가 일고 있다.
특히 조선말 신인으로 칭송받으며 발전된 미륵사상을 일으켰던 증산대성이 입멸하자 이후 그 제자들에 의한 대소 미륵신행단체의 활동이 일어났다. 이에는 '보천교', 수제자 김형렬의 '미륵불교', 김종용의 '용화사', 정수산의 '미륵불교', 조철제의 '태극도', '증산교', '증산법종교', '대순진리회', '증산진법회', '증산도' 등의 많은 군소 단체의 미륵신행이 있었다. 특기할 만한 것은 이들 단체 중에는 혹세무민적인 신행으로 사회로부터 큰 지탄을 받기에 이르러 미륵신행을 더욱 부정적으로 보게 하는 역기능을 낳기에 이른 단체도 있었다.
⑨ 현재 미륵신행과 사상은 역사상의 풍상을 겪는 동안 환경상 일체의 사상이 포용되는 여정을 겪게 되어 종교 중 가장 광범위한 사상체계를 이루고 있다. 하나 아직 미륵사상의 실상에 부합하는 실천적인 대사회적 제도기능을 발하지 못한 가운데 미륵사상이 흘러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