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기초교리
4. 사성제 (四聖諦)
부처님께서 최초 깨달음 열으시고 수주일 동안 계시었다. 그리고 어떤 결론에 도달하시고 다섯비구를 만나 베네라스의 녹야원으로 가시어 최초로 설법을 하시니 그것이 곧 사성제로 매우 중요한 가르침이다. 이때의 설법을 초전법륜(初轉法輪)이라고 한다.
1) 고성제(苦聖諦) : 무명한 중생의 현실은 고통과 괴로움이라는 깨우침이다.
그것에는 생노병사(生老病死)의 사고(四苦)와 애별리고(愛別離苦 :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나 환경등과 헤어져야 하는 고통)·원증회고(怨憎會苦 : 싫은 사람이나 환경등과 만나거나 살아야하는 고통)·구부득고(求不得苦 : 원하는 것이 뜻대로 이루어져 구해지지 않는 고통)·오음성고(五陰盛苦 : 오온(五蘊)중 수상행식(受想行識)에서 나오는 고통)를 합계한 여덟가지 고통을 인간사 겪어야 하는 사고팔고(四苦八苦)라고 한다.
2) 집성제(集聖諦) : 무명한 중생이 겪는 고통과 괴로움에는 반드시 그 원이 있는데 그것은 오욕(五欲)에 대한 갈애(渴愛)의 집착이다. 오욕(五欲)에는 재욕(財欲) 색욕(色欲) 식욕(食欲) 명예욕(名譽欲) 수면욕(睡眠欲)의 다섯이 있다.
오욕이 일어나는 원인은 전생과 이생을 윤회하며 훈습되어 기록저장되어 있는 제 8 종식(種識) 즉 업식(業識)에 의한 제 7 아상식(我相識)의 현출이다.
3) 멸성제(滅聖諦) : 고통과 괴로움이 소멸되면 열반의 경계가 나타난다.
4) 도성제(道聖諦) : 괴로움을 벗어나 열반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수행도법(修行道法)이 있다. 이는 곧 팔정도이다. 팔정도는 성불을 위한 수행이기도 하면서 수행후 나투는 법이기도 하다. 불교의 진의는 곧 팔정도를 여여히 중정하는 것이다.